엔화 약세가 계속되면서 일본 정부는 수입물가 상승에 대한 위기감을 강화하고 있다고 30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30일 보도했다.
이날 일본 재무성의 간다 마사토 재무관은 기자들에게 환율과 관련 "과도한 변동이 투기로 인해 발생한다면 국민 생활에 악영향을 준다. 거기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엔저가 "일본 전체가 실질 임금을 올리자는 때에 족쇄가 된다"고 언급했다. 실질 임금이란 일하는 사람이 받는 임금에서 물가 영향을 제외한 값이다. 엔화 약세로 수입 물가가 오른다면 물가는 한 층 더 상승한다. 신문은 "엔화 약세가 더욱 진행되면 물가를 끌어올려 실질 임금을 플러스로 전환한다는 기대가 멀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실질 임금은 이미 지난 2월까지 이미 23개월 연속 전년 같은 달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엔화 약세로 인해 '플러스 전환' 시기가 더 늦춰질 것이라는 견해가 확산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임금 인상 움직임이 활발하다. 정부가 임금 인상을 통한 실질임금 플러스 전환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가 집계한 데 따르면 올해 춘투(봄철 임금 협상) 임금인상률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46포인트 높은 3.57%였다. 중소기업에도 임금 인상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 그러나 신문은 "임금인상률을 물가상승률이 웃도는 상황이 계속된다면 실질임금은 플러스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메이지야스다 종합연구소는 실질임금을 산출하는 지표인 집 소유자 집세 환산분 제외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올해 4분기(10~12월) 전년 동기 대비 3% 정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게다가 달러 당 엔화가 170엔까지 급락하면 CPI를 0.4포인트 올릴 수 있다. 4분기 CPI는 3.4% 상승이라는 추산이 나온다.
일본경제연구센터가 4얼 공표한 이코노미스트 조사 결과, 실질 임금이 플러스가 되는 시기에 대해 올해 3분기(7~9월)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엔화 약세가 더 진행되면 플러스 시기가 더 늦춰질 가능성이 커진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일본 정부는 오는 6월 '정액 감세'를 예정하고 있다. 납세자 1명 당 총 4만엔(약 35만 원)을 감세해준다. 하기만 엔화 약세가 계속된다면 감세 효과에도 악영향을 주게 된다. 감세 효과가 약해진다. 가계 부담도 늘어난다. 미즈호리서치&테크놀로지는 엔화 약세, 고유가 등 영향으로 가계 1세대 당 올해 연간 부담 증액을 평균 10만6000엔(약 93만 원)이라고 추산했다.
앞서 지난 29일 오전 10시30분께 달러 당 엔화는 160엔대까지 급락하며 34년 만 최저치를 경신했다.
이후 수 시간 만에 엔 매입, 달러 매도로 인해 엔은 154엔대 중반까지 급등했다. 시장에서는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이 엔 매입 개입을 단행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닛케이는 일본 정부가 마지막으로 시장 개입을 단행했던 2022년과 지금은 경제 환경이 다르다면서, 만일 이번에 개입했다면 "일본 정부의 환율 개입이 지속적인 효과를 가질 것으로 전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뉴시스]
엔화 약세가 계속되면서 일본 정부는 수입물가 상승에 대한 위기감을 강화하고 있다고 30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30일 보도했다.
이날 일본 재무성의 간다 마사토 재무관은 기자들에게 환율과 관련 "과도한 변동이 투기로 인해 발생한다면 국민 생활에 악영향을 준다. 거기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엔저가 "일본 전체가 실질 임금을 올리자는 때에 족쇄가 된다"고 언급했다. 실질 임금이란 일하는 사람이 받는 임금에서 물가 영향을 제외한 값이다. 엔화 약세로 수입 물가가 오른다면 물가는 한 층 더 상승한다. 신문은 "엔화 약세가 더욱 진행되면 물가를 끌어올려 실질 임금을 플러스로 전환한다는 기대가 멀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실질 임금은 이미 지난 2월까지 이미 23개월 연속 전년 같은 달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엔화 약세로 인해 '플러스 전환' 시기가 더 늦춰질 것이라는 견해가 확산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임금 인상 움직임이 활발하다. 정부가 임금 인상을 통한 실질임금 플러스 전환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가 집계한 데 따르면 올해 춘투(봄철 임금 협상) 임금인상률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46포인트 높은 3.57%였다. 중소기업에도 임금 인상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 그러나 신문은 "임금인상률을 물가상승률이 웃도는 상황이 계속된다면 실질임금은 플러스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메이지야스다 종합연구소는 실질임금을 산출하는 지표인 집 소유자 집세 환산분 제외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올해 4분기(10~12월) 전년 동기 대비 3% 정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게다가 달러 당 엔화가 170엔까지 급락하면 CPI를 0.4포인트 올릴 수 있다. 4분기 CPI는 3.4% 상승이라는 추산이 나온다.
일본경제연구센터가 4얼 공표한 이코노미스트 조사 결과, 실질 임금이 플러스가 되는 시기에 대해 올해 3분기(7~9월)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엔화 약세가 더 진행되면 플러스 시기가 더 늦춰질 가능성이 커진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일본 정부는 오는 6월 '정액 감세'를 예정하고 있다. 납세자 1명 당 총 4만엔(약 35만 원)을 감세해준다. 하기만 엔화 약세가 계속된다면 감세 효과에도 악영향을 주게 된다. 감세 효과가 약해진다. 가계 부담도 늘어난다. 미즈호리서치&테크놀로지는 엔화 약세, 고유가 등 영향으로 가계 1세대 당 올해 연간 부담 증액을 평균 10만6000엔(약 93만 원)이라고 추산했다.
앞서 지난 29일 오전 10시30분께 달러 당 엔화는 160엔대까지 급락하며 34년 만 최저치를 경신했다.
이후 수 시간 만에 엔 매입, 달러 매도로 인해 엔은 154엔대 중반까지 급등했다. 시장에서는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이 엔 매입 개입을 단행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닛케이는 일본 정부가 마지막으로 시장 개입을 단행했던 2022년과 지금은 경제 환경이 다르다면서, 만일 이번에 개입했다면 "일본 정부의 환율 개입이 지속적인 효과를 가질 것으로 전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