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휴전하라는 국제적 압박이 거세지고 있지만,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오히려 "총력(full force)을 다해" 전투를 계속하겠다고 선언하고 '마이웨이'를 고수했다.
가자지구에서의 안보 통제권을 포기할 수 없고, 하마스 소탕이 끝나더라도 가자지구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통제하에 둘 수는 없다는 네타냐후 총리의 발언은 최대 동맹국인 미국의 전후 시나리오와도 배치된다.
12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네타냐후 총리는 전날 저녁 TV 연설을 통해 "(하마스에) 대항하는 이 전쟁은 전력을 다해 전개되고 있으며, 승리라는 하나의 목표가 있으며, 승리 외에는 어떤 대안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그곳(가자지구)은 이전과 달라져야 하지만, 어떤 경우라도 우리는 그곳의 안보 통제권을 포기할 수 없다"면서 전쟁이 끝난 뒤에 가자지구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통제하에 두는 방식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보 통제의 의미에 대해서는 이스라엘군이 무장세력을 수색하기 위해 자유롭게 가자지구에 진입할 수 있어야 한다고 답했다.
국제사회의 휴전 요구에 대해서는 가자지구에서 무장세력에 억류된 인질 239명이 모두 석방돼야만 휴전이 가능하다고 못 박았다.
네타냐후 총리의 이런 발언은 민간인 사망자가 속출하는 가자지구 내 인도주의적 위기 속에서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즉각적인 휴전 방안과는 배치된다.
또 하마스 격퇴 후 가자지구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넘겨주는 방안이 이상적이라는 이스라엘 정치권과 국제사회 일각의 견해와도 다른 것이다.
전후 시나리오와 관련해 미국은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재점령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고,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 단계의 하나로 가자지구와 서안지구에서 통일된 팔레스타인 정부를 수립하는 방안을 언급한 바 있다.
네타냐후 총리는 지난 6일 "가자지구의 전반적 안보를 무기한 책임질 것"이라며 가자지구 '재점령'을 시사했다가 논란이 커지자 진화에 나선 데 이어 전날 또다시 '안보 통제권'을 언급함에 따라 논란이 재점화될 전망이다.
미국과 이스라엘과 가장 가까운 동맹국이지만 전쟁 방식을 놓고 양측의 불협화음은 계속되고 있다.
개전 직후 이스라엘에 대한 절대적 지지를 표명한 미국은 이스라엘의 반격으로 민간인 피해가 커지자 대피와 인질 석방. 구호품 전달 등을 위해 인도적 차원의 교전 중지가 필요하다고 이스라엘을 압박했다.
그 결과로 백악관은 지난 9일 이스라엘이 매일 4시간씩 가자지구 북부에서 교전을 중지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스라엘군은 발표가 나오자마자 "이스라엘군이 사실상 이미 하는 것"이라며 의미를 축소, 미국과 엇박자를 타는 모습을 보였다.
AP,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군은 일시적 교전 중지를 공식화한 지 이틀만인 11일에 처음으로 가자시티 옆에 있는 자발리아 난민촌에서 교전 중지가 있었음을 밝혔다. 하지만 교전 중지가 실제로 어떻게 이뤄졌는지 언급은 나오지 않고 있다.
아울러 가자지구 남부와 이집트를 잇는 라파 국경 검문소를 통한 환자 등의 대피도 지난 10일부터 중단됐다.
이집트와 이스라엘, 하마스는 앞서 카타르의 중재로 가자지구와 이집트를 연결하는 라파 국경 통행로를 열어 가자지구 내 외국인과 중환자의 이동을 허용하기로 합의했으나, 이스라엘의 공습 문제로 지난 4∼5일에 이어 또다시 통행 차단 조치가 취해졌다.
이슬람권에서도 한목소리로 휴전을 촉구하고 나섰지만 네타냐후 총리는 여전히 날 선 반응을 보였다.
11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이슬람협력기구(OIC) 특별 정상회의에 모인 57개국 지도자들은 성명에서 즉각적인 휴전을 촉구하고, 유엔 산하 국제사법재판소에 이스라엘 공격에 대한 조사를 개시할 것을 요구했다.
이스라엘과 수교 협상을 하던 사우디아라비아의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도 "팔레스타인 주민에게 저질러진 범죄의 책임은 점령 당국에 있다"며 이번 사태의 책임을 이스라엘에 돌렸다.
네타냐후 총리는 TV 연설에서 이 정상회의를 언급하면서 "이스라엘은 자국민을 학살한 시리아의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과 이란의 에브라힘 라이시 대통령의 도덕 강의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휴전하라는 국제적 압박이 거세지고 있지만,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오히려 "총력(full force)을 다해" 전투를 계속하겠다고 선언하고 '마이웨이'를 고수했다.
가자지구에서의 안보 통제권을 포기할 수 없고, 하마스 소탕이 끝나더라도 가자지구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통제하에 둘 수는 없다는 네타냐후 총리의 발언은 최대 동맹국인 미국의 전후 시나리오와도 배치된다.
12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네타냐후 총리는 전날 저녁 TV 연설을 통해 "(하마스에) 대항하는 이 전쟁은 전력을 다해 전개되고 있으며, 승리라는 하나의 목표가 있으며, 승리 외에는 어떤 대안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그곳(가자지구)은 이전과 달라져야 하지만, 어떤 경우라도 우리는 그곳의 안보 통제권을 포기할 수 없다"면서 전쟁이 끝난 뒤에 가자지구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통제하에 두는 방식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보 통제의 의미에 대해서는 이스라엘군이 무장세력을 수색하기 위해 자유롭게 가자지구에 진입할 수 있어야 한다고 답했다.
국제사회의 휴전 요구에 대해서는 가자지구에서 무장세력에 억류된 인질 239명이 모두 석방돼야만 휴전이 가능하다고 못 박았다.
네타냐후 총리의 이런 발언은 민간인 사망자가 속출하는 가자지구 내 인도주의적 위기 속에서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즉각적인 휴전 방안과는 배치된다.
또 하마스 격퇴 후 가자지구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넘겨주는 방안이 이상적이라는 이스라엘 정치권과 국제사회 일각의 견해와도 다른 것이다.
전후 시나리오와 관련해 미국은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재점령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고,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 단계의 하나로 가자지구와 서안지구에서 통일된 팔레스타인 정부를 수립하는 방안을 언급한 바 있다.
네타냐후 총리는 지난 6일 "가자지구의 전반적 안보를 무기한 책임질 것"이라며 가자지구 '재점령'을 시사했다가 논란이 커지자 진화에 나선 데 이어 전날 또다시 '안보 통제권'을 언급함에 따라 논란이 재점화될 전망이다.
미국과 이스라엘과 가장 가까운 동맹국이지만 전쟁 방식을 놓고 양측의 불협화음은 계속되고 있다.
개전 직후 이스라엘에 대한 절대적 지지를 표명한 미국은 이스라엘의 반격으로 민간인 피해가 커지자 대피와 인질 석방. 구호품 전달 등을 위해 인도적 차원의 교전 중지가 필요하다고 이스라엘을 압박했다.
그 결과로 백악관은 지난 9일 이스라엘이 매일 4시간씩 가자지구 북부에서 교전을 중지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스라엘군은 발표가 나오자마자 "이스라엘군이 사실상 이미 하는 것"이라며 의미를 축소, 미국과 엇박자를 타는 모습을 보였다.
AP,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군은 일시적 교전 중지를 공식화한 지 이틀만인 11일에 처음으로 가자시티 옆에 있는 자발리아 난민촌에서 교전 중지가 있었음을 밝혔다. 하지만 교전 중지가 실제로 어떻게 이뤄졌는지 언급은 나오지 않고 있다.
아울러 가자지구 남부와 이집트를 잇는 라파 국경 검문소를 통한 환자 등의 대피도 지난 10일부터 중단됐다.
이집트와 이스라엘, 하마스는 앞서 카타르의 중재로 가자지구와 이집트를 연결하는 라파 국경 통행로를 열어 가자지구 내 외국인과 중환자의 이동을 허용하기로 합의했으나, 이스라엘의 공습 문제로 지난 4∼5일에 이어 또다시 통행 차단 조치가 취해졌다.
이슬람권에서도 한목소리로 휴전을 촉구하고 나섰지만 네타냐후 총리는 여전히 날 선 반응을 보였다.
11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이슬람협력기구(OIC) 특별 정상회의에 모인 57개국 지도자들은 성명에서 즉각적인 휴전을 촉구하고, 유엔 산하 국제사법재판소에 이스라엘 공격에 대한 조사를 개시할 것을 요구했다.
이스라엘과 수교 협상을 하던 사우디아라비아의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도 "팔레스타인 주민에게 저질러진 범죄의 책임은 점령 당국에 있다"며 이번 사태의 책임을 이스라엘에 돌렸다.
네타냐후 총리는 TV 연설에서 이 정상회의를 언급하면서 "이스라엘은 자국민을 학살한 시리아의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과 이란의 에브라힘 라이시 대통령의 도덕 강의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연합뉴스]